티스토리 뷰
남녀노소 모두가 좋아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 될 정도로 한국인의 고구마 사랑은 찐사랑입니다. 모두가 좋아하는 고구마 건강에 얼마나 좋은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고구마 효능 ]
고구마는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매우 좋습니다.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영양소와 효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베타카로틴: 고구마에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베타카로틴은 식물성 비타민 A로서 눈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식이섬유: 고구마에는 다량의 식이섬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식이섬유는 소화와 변비 개선에 도움을 주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 비타민 C: 고구마에는 비타민 C가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비타민 C는 면역력 강화와 콜라겐 생성에 필요한 영양소로서 알려져 있습니다.
- 미네랄: 고구마에는 철분, 칼슘, 마그네슘 등 다양한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 미네랄은 골밀도 유지와 혈액순환에 도움을 줍니다.
- 항산화물질: 고구마에는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이 들어 있습니다. 폴리페놀은 세포 손상을 예방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고구마는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매우 좋습니다. 이렇게 좋은 고구마에게도 부작용이 있다는 사실 알고 있습니까? 그럼 어떤 부작요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고구마 부작용 ]
고구마는 매우 건강에 좋은 식품이지만, 너무 많이 먹을 경우 몇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고구마를 많이 섭취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단점 중 일부입니다:
- 당분 함량이 높음: 고구마는 당분 함량이 높은 식품으로, 많이 먹을 경우 혈당 수치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산성성분이 높음: 고구마에는 산성성분이 높은 칼륨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고구마를 많이 먹을 경우 칼륨 섭취량이 과다해지면서 혈압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음: 고구마는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식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과도한 섭취는 동맥경화나 심장질환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과식으로 인한 비만: 고구마는 매우 건강한 식품이지만, 너무 많이 먹을 경우 칼로리 섭취가 증가하면서 비만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구마는 매우 건강한 식품이지만, 적당한 양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구마 먹으면 안되는 사람은? ]
1.위장 장애가 있는 사람은 공복에 절대 고구마 금지,
2.신장,만성 신부전증이 있는 거나 이 좋지 않은 사람 (고구마에 풍부한 칼륨이 들어있음)
3.당뇨병환자 (고구마에 열을 가하면 당분이 엄청 높아짐 : 생고구마가 혈당이 낮아 익힌것 보다 생고구마를 섭취하는 것이 좋음)
4.다이어트 하는 사람들 ( 너무 많이 먹으면 다이어트에 좋지 않다. 높은 탄수화물 때문에)
5.흡연자
6.복부팽만 과민성대장 증후군 (과다 섭취시 장에 탈이 날 수 있음)
출처:https://www.youtube.com/watch?v=NAz-IBfn5DM
[ 고구마는 공복에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진짜일까? ]
1.혈당의 급격한 상승
고구마는 당분이 풍부한 음식으로, 공복 상태에서 섭취하면 혈당이 급격히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혈당 상승은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고, 혈당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인슐린의 효능이 감소하여 혈당 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과다한 혈당 상승은 당뇨병, 비만, 대사증후군 등의 질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구마를 식사로 함께 먹거나, 아침 등 다른 음식과 함께 섭취할 경우에는 혈당 상승이 저하되고, 혈당 조절 기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는 논문 "Postprandial blood glucose response to sweet potato-containing breakfasts and snacks with different glycemic index in healthy young adults" (PMID: 29032608)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건강한 청년 대상으로 고구마를 포함한 다양한 아침식사와 간식을 섭취한 후의 혈당 변화를 조사한 결과, 고구마를 섭취한 경우 혈당 상승이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나타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구마를 공복 상태에서 섭취하는 것은 혈당 상승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추천되지 않습니다.
2.위장 장애나 위산과 관련된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고구마를 공복 상태에서 먹으면 위장 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고구마가 식이 섬유질이 풍부하고 높은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위장 장애나 위산과 관련된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공복 상태에서 고구마를 먹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또한, 일부 연구에 따르면 고구마를 공복 상태에서 섭취할 경우 위산의 분비가 증가하여 위장 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4년에 발표된 연구 "Effects of sweet potato leaves on relief of postprandial symptoms in healthy adults" (PMID: 24709196)에서는 고구마잎의 성분 중 하나인 카테킨이 위산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장 장애나 위산과 관련된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공복 상태에서 고구마를 섭취하는 것을 피하고, 식사와 함께 고구마를 먹는 것이 좋습니다.
[생고구마를 먹으라고 하던데? 생고구마 vs 찐고구마 뭐가 더 좋을까?]
생고구마와 찐고구마는 영양소의 종류는 비슷하지만, 조리 방법에 따라 일부 영양소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찐 고구마는 생 고구마보다 소화가 더 쉽고, 당도가 높아 맛이 좋으며 더욱 많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생고구마와 찐고구마의 영양소 함량 차이입니다.
- 탄수화물: 생고구마와 찐고구마 모두 탄수화물이 풍부합니다. 찐 고구마는 생고구마보다 당도가 높아 더 많은 탄수화물을 함유합니다.
- 비타민 A: 생고구마와 찐고구마 모두 비타민 A가 풍부합니다. 그러나 찐 고구마는 비타민 A가 더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 비타민 C: 생고구마와 찐고구마 모두 비타민 C가 풍부합니다. 그러나 찐 고구마는 조리 과정에서 일부 비타민 C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 식이섬유: 생고구마와 찐고구마 모두 식이섬유가 풍부합니다.
- 칼륨: 생고구마와 찐고구마 모두 칼륨이 풍부합니다. 찐 고구마는 조리 과정에서 일부 칼륨이 더욱 농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찐 고구마는 생고구마보다 일부 영양소 함량이 높을 수 있지만, 조리 과정에서 일부 영양소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 고구마 칼로리 ]
고구마 100g당 대략 90~100kcal의 칼로리가 있습니다. 다만, 고구마의 크기와 조리 방법에 따라 칼로리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크기가 큰 고구마일수록 칼로리가 높을 수 있으며, 튀긴 고구마나 설탕이 첨가된 고구마 제품 등은 높은 칼로리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구마를 섭취할 때는 적절한 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고구마를 먹으면 방귀가 나온다? 진짜일까? ]
고구마를 먹으면 방귀가 나오는 이유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고구마는 식이 섬유질이 풍부하고, 탄수화물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성분들은 대장 내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방귀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고구마에 함유된 탄수화물 중에서도 비소화성 탄수화물인 섬유질이 많기 때문에, 소화기관에서 소화되지 않고 대장 내에서 미각세포에 의해 분해되면서 다양한 가스를 생성합니다. 또한, 고구마를 먹을 때 식이 섬유질이 소화되지 않고 대장 내에서 가수분해되면서 당분으로 바뀌면서 다양한 가스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내용은 2017년에 발표된 연구 "Effect of sweet potato consumption on gut microbiota and humoral immunity in adults" (PMID: 28696357)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연구에서는 고구마를 먹은 사람들의 대장 내 미생물 군집 변화를 조사한 결과, 고구마를 먹은 사람들이 대장 내에서 메탄산 가스를 더 많이 발생시켰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따라서, 고구마를 먹으면 방귀가 나오는 이유는 식이 섬유질과 탄수화물이 대장 내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자 잘 삶는법, 삶은 감자 칼로리, 감자 칼로리, 감자즙, 감자 효능 (0) | 2023.03.30 |
---|---|
시금치 효능 : 시금치 많이 먹으면 위험하다? (0) | 2023.03.29 |
꼭 먹어야 할까? 멜라토닌? 멜라토닌 효능, 부작용, 멜라토닌과 세로노틴의 관계 (1) | 2023.03.28 |
꿀마늘 효능, 꿀마늘 만들기 꿀마늘이 왜 좋을까? (0) | 2023.03.26 |
오메가 3 효능, 좋은 오메가 고르는 방법 , 오메가3 꼭 먹어야 할까? (0) | 2023.03.2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생시금치
- 건강한 걷기 습관
- 우울증 세로토닌
- 벚꽃 개화시기 2025
- 맨발 걷기 장소 추천
- 제주 벚꽃 개화 시기
- 경주 벚꽃 개화시기
- 국민체력 인증
- 세로토닌 멜라토닌
- 국민체력 100 신청
- 철분 흡수율
- 시금치 적정량
- 맨발 걷기 연구
- 정신 건강에 좋은 약
- 아몬드 하루 몇개
- 국민체력 100 인증
- 철분 흡수 돕는 음식
- 노로바이러스 굴
- 노로바이러스 증상
- 어싱이란
- 시금치 나쁜점
- 대추야자 혈당
- 국민체력 100 비대면
- 세로토닌 영양제
- 아몬드 보관방법
- 꿀 대신 대추야자
- 스트레스 약
- 대추야자 당뇨
- 맨발로 걷기 건강
- 시금치 결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